보드게임 교육

5강 연령별 보드게임

오렌지시리 2022. 3. 24. 21:30
반응형

1. 유아기(5-7세)

1) 특성

유아기의 아이들은 타인을 모방하고 이야기에 몰입하는 경향이 있다.

 

전래동화나 창작동화를 많이 읽는 시기로 같은 걸 반복해서 읽어주는 걸 좋아한다.

 

인지적 성장과 언어발달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적절한 교육이 수반되지 않으면 교육의 시기를 놓칠 수도 있다.

 

이때의 아이들은 매우 활동적이어서 일어서지 않고 게임을 하기 힘들다. 그래서 유동성 있게 게임을 진행하되 다른 사람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제지할 필요가 있다.

 

아직은 상대방을 배려하지 않으면 타인이 싫어한다는 걸 모르는 나이이기 때문에 규칙을 알려주되 비논리적인 이야기를 할 때 잘 들어줌으로 감정을 이해해주고 감정을 분출할 시간의 여유를 주어야 한다.

 

너무 자기 중심적으로만 이루어지지 않도록 다른 아이들과 타협점을 찾아주고 공평하게 게임을 해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2) 보드게임 선정방법

게임의 룰이 너무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것으로 선택해야 한다.

 

자기조절 능력과 표현력이 아직 미흡하기 때문에 너무 어려우면 안 하려고 할 수 있다.

 

구성물이 너무 작지 않은 것을 선택하고 1분안에 설명이 끝날 수 있도록 한다.

 

스티키스틱스, 도블, 서펜티나, 구름빵, 수 놀이 듬뿍, 꼬마돼지서커스, 블로커스

 

2. 아동기(8-12세)

1) 특성

아동기의 아이들은 구조화된 게임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다양한 게임에 관심을 많이 보인다. 기술적인 보드게임과 단순한 게임을 섞어서 사용하면 좋다.

 

또래친구 집단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감정적 느낌을 벗어나 자신의 논리를 가지기 시작함으로써 현실감각이 생겨나는 시기다. 다른 사람을 설득하기 위해서 논리를 갖고 말하기 시작한다.

 

콜버그의 도덕적 판단의 발달론에서 보면 이 시기의 아동들은 옳고 그른 것에 대해 단 하나의 견해만 있는 것은 아님을 조금씩 깨닫는다.

 

그래서 규율을 조금 어긴다 하더라도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는 상대를 헤치지 범위에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게임을 하면서 작은 범위에서의 규칙을 어기는 것은 이해해주되 큰 틀은 지켜나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2) 보드게임 선정방법

거의 대부분의 보드게임을 선택할 수 있다. 현재 출시된 보드게임들의 대부분이 이 시기의 아동들이 하기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것들이 많다.

 

특별히 다중지능이론을 기반으로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보완할 수 있는 영역의 보드게임을 선택하면 좋다. 8개의 지능 중 하나라도 현저하게 떨어지지 않게 도와주는 것이다.

 

또한 이 시기에는 보드게임의 경험이 부족한 아동일 경우에는 매우 전략적이거나 경쟁적인 것은 교육초기에 자제하는 것이 좋다. 

 

3. 청소년기(13-15세)

1) 특성

사춘기는 강렬한 혼란을 경험하는 시기다.

 

존재감,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고민하는 시기이며 또래집단과의 유대와 동일시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쉽다. 동질그룹 속에서 편안함과 소속감을 느끼기 때문에 배타성과 차별성 또한 보이게 된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아가는데 집단 정체성이 필요하지만 집단 정체성이 너무 강하면 안 좋은 길로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자아 정체성은 자신이 좋아하고 이상적으로 여기는 다른 사람의 어떤 부분을 자신의 것으로 동일시하는 과정 속에서 형성해 나간다. 다른 사람들로 부터 인정받고 칭찬 받는 자기 성취를 중요시 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2) 보드게임 선정방법

구조화된 보드게임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정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요하는 전략적 게임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휴식, 여가, 두뇌체육으로 접근하여 전략 게임과 파티게임, 간단한 카드게임을 섞어서 진행하면 좋다.

 

자신에 대한 질문,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 부모와의 갈등 등을 이야기를 끄집어 낼 수 있는 딕싯 같은 게임들이 다양한 경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