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자' - 요즘 우리의 관심사
요즘 투자이야기는 장안의 이슈인 것 같다.
유튜브에서도 걸핏하면 투자 알고리즘에 걸린다.
물론 내 관심사 중 하나가 되기도 했지만 조회수도 만만치 않은 걸 보면 나뿐만이 아닌 모두의 관심사가 되어가는 듯 하다.
친구들과 모이면 먹는 얘기, 학교 생활 얘기하는 것이 일상이었던 게 엇그제 같은데 그간의 시간은 잊은 듯 우리는 다른 사람이 되어 있었다.
그렇다. 30대가 되면서 대화주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투자' 다.
게임을 하다가도 밥을 먹다가도 주식, 부동산 이야기가 어느덧 흘러나오고 있는 것이 어색하지 않은 나이다.
나이 때문이기도 하나 시대흐름 때문이기도 하겠다.
글 잘 쓰는 지은이에 대한 관심
자연스럽게 투자서적들을 하나둘 읽는 것도 하루 일과가 되었는데 요 근래 굉장한 지식인의 글을 읽게 되었다.
바로 '부의 인문학'이다.
인문학이 자신의 스승이라며 수많은 경제학자들의 이야기를 인용한 글이었다.
얼마나 많은 책과 지식을 뒤져가며 책을 기록했는지 알만하다.
이 책 하나만으로 10명이 넘는 경제학자들의 이름을 접할 수 있었다.
내가 지금껏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을 깨주는 책이었고 어느정도 설득당했다.
투자서적을 읽으면서 한번도 이 사람이 글을 자주 쓰는 사람인가를 생각해본 적은 없었는데 우석의 책을 보며 바로 알았다.
이 사람 글 좀 쓸 줄 아는 사람이다.
어려운 이야기를 굉장히 쉽게 또 깊이있게 전달한다. 내공이 느껴진다.
그 궁금증은 곧 지은이의 이력을 보며 풀렸다.
<머니투데이>와 <이코노미스트> 등의 칼럼을 썼으며 네이버 카페에서 투자에 대한 글을 써왔다는 걸 발견했다.
네이버카페도 둘러보았는데 글이 아주 알차다.
이 책을 정확히 두 번 읽었다.
목차도 좋았고 내용도 좋았고 글 솜씨도 배우고 싶었다.
내가 가져왔던 부자에 대한 나쁜 생각, 투자에 대한 안 좋은 생각을 깨주고 자본주의는 도덕적이지 않다는 단순한 진리까지 전달받았다.
슈퍼리치의 서재에서 찾아낸 부자의 길, 누가 지었는지 소제목도 참 잘 지었다.
책 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이야기
'마이클 포터가 말하는 전략적 사고란 어떤 것인지, 아주 쉬운 예를 들어보자. 거북이 토끼랑 경주에서 이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체력을 기르고 노력하고 쉬지 않고 열심히 달리면 이길 수 있을까? 절대 아니다. 요즘 토끼는 낮잠을 자지 않는다. 거북은 육상 달리기 시합을 하면 언제나 질 수밖에 없다. 거북은 육상 시합 대신에 수영시합을 하자고 해야 한다. 이런 게 전략적 사고다.'
무조건 열심히만 하면 된다는 사고의 틀을 깨야 한다.
인생은 줄서기다.
나를 어디에 포지셔닝할 것인가.
내 인생에서 꼭 던져봐야 하는 질문이다.
더 어린 나이에 발견했다면 더 좋았을 책. '부의 인문학'
반응형
'libr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청의 <역행자> -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 반복해야 할 7단계 모델 (1) | 2022.10.20 |
---|---|
로버트 기요사키의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 현금흐름을 만드는 자산을 사라 (0) | 2022.09.27 |
오수영 산문집, 진부한 에세이를 읽고 (0) | 2022.03.11 |
불렛저널을 읽고 변화한 나의 다이어리 이야기 (2) | 202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