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게임 교육

1강 놀이의 특성과 게임의 특징

오렌지시리 2022. 3. 9. 23:17
반응형

[1] 놀이란 무엇인가?

놀이는 고정된 시간과 공간의 한계 안에서 이루어진다. 놀이에 따라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칙이 존재하고 놀이 자체가 목적이 된다. 일상 생활과는 다르기에 일상의 규칙이 없어지고 놀이 안에서의 규칙이 적용된다.


[2] 놀이의 특성

① 허구성
놀이 안에서의 가상 세계가 존재하여 새로운 지위와 역할을 얻는다.

② 자발성
언제든 그만둘 수 있으며 언제든 시작할 수 있다.

③ 규칙성
절대적이고 일관성 있는 규칙이 존재한다.

④ 무목적
놀이 자체가 목적이 된다.

⑤ 무 생산성
외적 보상이 없이 이루어짐으로 과정을 중요시 한다.

⑥ 예측불허
누가 이길지 알 수 없고 항상 똑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는다.

⑦ 공동체성
두 사람 이상이어야 할 수 있다.

⑧ 지속경향성
실제 생활에 온전히 내재화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모든 놀이의 모티브가 실생활에 있다.


[3] 게임의 특징


보드게임 지도자는 놀이 전달자의 역할을 한다. 보드게임을 통해 도덕 발달, 인지 발달, 정서 발달을 도와줄 수 있다.

(1) 도덕 발달

보드게임에는 게임마다 정해놓은 규칙이 존재하는데 그 규칙을 지키는 것이 도덕 발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사회에는 수 많은 규칙을 지키며 살아가는데 아이들이 보드게임을 통해서 규칙을 지키며 즐겁게 노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2) 인지 발달

보드게임에는 다양한 상호작용이 발생한다. 게임 안에 다양한 일상 생활의 상황이 담겨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사회적 경험을 얻을 수 있다. 상황 판단 뿐만 아니라 수, 공간, 이치, 속도, 거리, 색깔, 모양 등 다양한 인지 발달에도 도움을 준다.

(3) 정서 발달

보드게임에는 협동 게임처럼 같은 목적을 가지고 함께 이기는 게임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경쟁적인 요소가 있다. 이런 경쟁성은 흥미요소가 되어주는데 이걸 싫어하는 아이들이 있다. 애니어그램 9번 성향을 가진 아이들이 대게 그렇다. 누군가 '나는 열심히 안 해, 너가 이기게 도와 줄게' 이런 식의 마인드를 갖는다면 이기려고 하는 사람은 무안해지고 재미도 떨어뜨리게 된다. 그래서 보드게임 안에서는 내가 열심히 이기려고 하는 것도 의무가 된다. 보드게임을 통해 승패에 대한 결과를 수용하고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반응형